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스타크래프트 빌드연구소] 패스트 캐리어 빌드오더

by ^!##!!% 2024. 10. 15.

프로토스 전략 중에는 최종 유닛인 캐리어를 빨리 생산해 운영을 해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저그 상대로도 테란 상대로도 하기 좋은 전략이기에 기습적으로 등장하는 캐리어를 통해 정신적 타격도 입힐 수 있는 방법인데요.

패스트 캐리어 빌드오더

이 빌드는 가장 중요한 부분은 빠르게 캐리어를 생산하는 것이기 때문에 더욱 빌드 오더를 맞춰서 진행하는 게 중요합니다. 캐리어는 상대방의 지상 유닛과 건물에 큰 피해를 주기 때문에, 잘 준비된 패스트 캐리어 빌드는 게임을 일찍 끝낼 수 있는 강력한 도구가 됩니다. 혹은 예상치 못한 상황에 최종 유닛의 등장으로 극찬과 함께 GG를 받아낼 수 있습니다.

패스트 캐리어 빌드 오더

1. 초반 준비

9번째 프로브로 파일런을 건설하고, 13번째 프로브로 게이트웨이를 건설합니다. 가스를 빠르게 채취하기 위해 게이트웨이 이후 바로 어시밀레이터를 건설합니다.

이후 사이버네틱스 코어를 완성하고, 스카우트를 준비하거나 상대방의 체제를 확인하는 탐색을 시작합니다. 상대가 빠르게 러시를 시도하지 않는다면 캐리어 체제로 전환합니다.

2. 중반: 스타게이트와 플릿 비콘 준비

사이버네틱스 코어가 완료되면 빠르게 스타게이트를 건설합니다. 첫 스타게이트가 완료되면 즉시 플릿 비콘(Fleet Beacon)을 건설하여 캐리어 생산을 준비합니다.

두 번째 넥서스를 지어 멀티 자원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캐리어는 비용이 많이 드는 유닛이므로 자원 관리가 핵심입니다.

3. 캐리어 생산

플릿 비콘이 완성되면 인터셉터 업그레이드와 캐리어 생산을 시작합니다. 캐리어는 인터셉터를 발사하여 적에게 공격을 가하며, 다수의 캐리어가 모이면 적의 지상 및 공중 유닛을 모두 상대할 수 있습니다.

2~3개의 스타게이트에서 동시에 캐리어를 생산하며, 상대방의 공격에 대비하여 방어 유닛이나 방어 시설을 보강합니다.

4. 후반 운영

캐리어가 4~6대 이상 모이면 상대의 기지나 멀티 지역을 공격합니다. 캐리어는 기본적으로 매우 강력한 공중 유닛이지만, 상대가 스커지(저그)나 골리앗(테란)을 다수 준비했을 경우 주의가 필요합니다.

질럿이나 드라군 등의 지상 유닛으로 캐리어를 보조하며, 지상군의 지원 없이 캐리어만으로 전투를 벌이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그럼 장점과 단점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략을 실행할 때도 나에 대한 메타인지가 잘 되어야 승리를 할 수 있습니다. 장점을 극대화하고 단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향을 연구해보시길 바랍니다.

패스트 캐리어 장점

  • 강력한 공중 압박: 캐리어는 한 번 모이면 공중에서 큰 화력을 발휘합니다. 특히 지상 공격력이 뛰어난 유닛들이 캐리어의 공중 공격을 막기 어렵기 때문에 상대방이 이를 막을 유닛을 준비하기 전에 승리할 수 있습니다.
  • 다수의 인터셉터: 캐리어가 생산하는 인터셉터들은 적의 유닛이나 건물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어 상대방의 멀티와 방어 타워를 무력화하기 쉽습니다

패스트 캐리어 약점

  • 자원 소모: 캐리어는 고비용 유닛이므로 충분한 자원을 확보하지 못하면 실패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멀티 확보가 빌드의 핵심입니다.
  • 빠른 러시: 상대방이 빠른 러시를 시도할 경우 캐리어가 생산되기 전에 기지가 무너질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방어 준비가 필요합니다.
  • 카운터 유닛: 테란의 골리앗, 저그의 스커지나 히드라리스크, 프로토스 미러전에서의 스카웃 등은 캐리어에 대항하는 효과적인 유닛들이므로, 이를 상대할 수 있는 병력도 준비해야 합니다.

종합적으로 정리해보자면 프로토스 패스트 캐리어 빌드는 빠르게 캐리어를 생산하여 상대방을 압박하는 전략으로, 충분한 자원을 확보하고 캐리어를 생산할 수 있다면 게임을 유리하게 끌고 갈 수 있습니다. 다만, 캐리어의 높은 자원 소모와 상대방의 빠른 러시에 대비해야 하며, 캐리어를 적절히 보호하는 지상 유닛의 지원도 필요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한국인이 게임을 잘하는 이유

전 세계 게임 대회 혹은 게임 랭킹을 보면 유독 한국 사람들이 많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세계 게임 대회에서도 트로피를 올리는 한국인들이 정말 많죠. 한국인은 도대체 왜 게임을 잘할

a001keo.tistory.com

 

댓글